
서론
1) 장비의 테이블은 크게 자금류/오루류로 나뉘며
자금류의 경우 무기/반지/장신구,
오루류의 경우 갑옷/아대/허리띠로 나뉜다.
2) 아이템의 옵션은 녹색 1개 / 청색 2개 / 자색 3개이며
제작하는 부위와 지역에 따라 확률적으로
지역 고유의 자색 옵션이 붙을 수 있음
3) 아이템 옵션의 상한치는 녹색 > 청색 > 자색 순임
따라서 중복옵션(공격 2줄, 방어 3줄 등)을 노리는 경우
청색 2줄 중복옵션을 채택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음
(자색 3줄의 중복옵션은 출현률이 극히 낮으며
뜬다고 하더라도 2줄 중복 옵션에 비해 상한치가 낮아
유의미한 수치 차이를 보이지 않을 수 있다)
4) 하기 아이템 테이블의 조사 및 제작은 모두 비행기모드로 제작 후
데이터 삭제 후 재시도를 기반으로 작성함
- 방법론 작성 시 따로 언급하지 않겠다는 이야기
5) 하기 서술할 모든 내용의 "축검산장" 내용은 축검산장 호감도 1만에
해금되는 자금단로 제작 기준인 것을 명시함
1. 제작 테이블의 이해
자금류의 제작 테이블은
1) 대도시(십방집 포함) / 문파 대장간(숭산, 낙하진) / 축검산장
2) 남양도
3) 망우촌
의 3가지 테이블이며
오루류의 제작 테이블은
1) 대도시(십방집 포함) / 문파 봉제소(명월봉)
2) 낙양
3) 남양도
의 3가지 테이블이 있음
이 때 1)의 경우
대도시 << 문파 대장간/봉재소 <<< 축검산장 순서로
제작 시의 아이템 등급이 업그레이드 될 확률이 있다.
아이템 등급의 업그레이드란 테이블이 동일한 아이템이
일정 확률로 다음 등급(초록 -> 파랑, 파랑 -> 보라)으로 업그레이드 되며
한 줄의 옵션이 추가되는 것을 말하며
대도시의 아이템 평균 등급이 1이라면, 문파 대장간/봉재소는 약 1.2
축검산장은 약 1.4~1.5 정도의 체감을 보임(주관적)
이를테면

따라서 십방집 외의 테이블 조사 시 자금류 중 반지/장신구와
오루류 아이템은 모두 십방집에서 판매하는 도면을 구매해야 하는데
다른 지역 테이블에서 20개의 미래시를 보겠다고 도면을 20개 구매하는 건
미친짓임.
이를테면, 90제 갑옷의 낙양 테이블을 20개 보려면 도면을 5개 정도만 사고
1~5번은 낙양에서 바로 제작 해보고
6~10번은 십방집에서 5개를 제작(도면 사용x) 후 낙양에서 제작하면 되고
11~15번은 십방집에서 10개를, 16~20번은 십방집에서 20개를 먼저 제작하고
보면 된다. 이론적으로는 도면 하나로도 가능하며(노가다는 당신의 몫)
테이블 조사 시 "천장"은 테이블 카운팅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만 명확히 하면 됨
5. 실전 예시 (자금류 아이템 예시)

1) 문파의 일반 아이템 테이블은 무조건 축검산장 이하이므로,
문파 대장간은 별도로 테이블을 작성하지 않음
2) 오루류 아이템은 축검산장 대신 명월봉이 들어가면 되고,
아래 천도/소림의 테이블은 문파 봉재소가 명월봉밖에 없으므로
별도로 존재하지 않음
3) 축검산장의 빨간색 볼드는 아이템 등급이 상승된 것을 별도 표기
4) 셀의 파란색 음영은 개인적으로 노려볼만한 옵션을 체크한 것
실제로 작성해보면 알겠지만, 천장으로 튀어나오는 자색아이템이 많기 때문에
3번 문단의 4항을 통해 자색아이템은 별도 카운팅 해야 제작이 수월함
위 표와 같이 제작 테이블 조사가 끝났으면 이제 제작 시나리오를 잡아본다.
노려볼만한 아이템이 후반부에 위치한 경우 한 부위에 지나친 재료를 투입하게 되므로
적당히 표 상부의 테이블 안에서 제작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함
- 축검 2번의 떡방어(자색)템을 먹기로 함
- 그 이후 먹을 게 없어서 좌절을 좀 함
- 다음에 노릴 것은 축검의 17번(자색), 그 전에 안 쓸것 같지만 혹시 모르니
십방집 16번(청색)도 하나 챙기기로 함
- 자색 아이템의 순서가 2번 뒤 17번으로, 사이에 첫 번째 천장이 발생
- 이 때 지역별 첫 번째 천장 옵션을 살펴보니, 십방집과 남양도 천장 1의 아이템이
먹어봄직 함, 십방집 천장 1번으로 결정
- 이후 축검의 18번(청색), 21번(청색)을 노리고 남양도의 22번을 노릴 예정
- 천장 카운팅을 쌓기 위해(10개) 제작 위치를 중간에 변경해야 함
도면도 다 돈이므로, 스킵하는 순서에는 무조건 십방집에서 제작하기로 함
이런 시나리오로 제작 순서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됨
1 - 십방집 제작(스킵)
2 - 축검산장 제작(십방집 2번) - 도면 1장 소요
3 - 십방집 제작(스킵)
4 - 남양도나 망우촌에서 제작(십방집 4번의 자색아이템 회피목적) - 도면 2장째 소요
5~12 - 십방집에서 제작(스킵), 이로써 비자색 아이템 10연타, 다음은 천장
천장 - 십방집에서 제작(십방집 천장 1번)
13~16 - 십방집에서 제작(스킵, 십방집 16번)
17~18 - 축검산장에서 제작(축검 17번, 18번) - 도면 4장째 소요
19 - 20 - 십방집에서 제작(스킵)
21 - 축검산장에서 제작(축검 21번) - 도면 5장째 소요
22 - 남양도에서 제작(남양도 22번) - 도면 6장째 소요
예시의 옵션이 만족스럽지 않지만, 도면 6장으로 7개의 반지를 확보함
이런 방식으로, 테이블과 천장을 넘나들며 내게 필요한 옵션을 골라먹는 기초전략을 세운다.
이게 왜 기초냐고? 응용이 남았기 때문
6. 자색옵션(지역 고유 옵션)의 이해
- 이미 어려웠지만 지금부턴 더 어려워짐
- 자색 옵션은 아래와 같은 지역별 고유 옵션이 랜덤으로 붙는 것을 말함
자금류 아이템의 경우

오루류 아이템의 경우

1) 위 옵션은 지역별 대장간/봉재소에서 제작 시 랜덤하게 붙는다.
2) 속성 1~3은 테이블을 공유한다...이게 무슨 뜻이냐면
십방집에서 갑옷을 제작 시 방어 270이 붙는 타이밍에
남양도에서 갑옷을 제작하면 방어 20이 붙고
명월봉에서 갑옷을 제작하면 신법 5가 붙는다는 뜻임
- 이 경우 십방집과 명월봉의 갑옷 옵션 테이블은 동일하거나
명월봉에서 소폭의 업그레이드 확률이 있으나
남양도는 다른 옵션과 등급이 뜬다. 아이템 테이블이 다르므로
- 이게 이해가 안 되면 대항목 1~5까지 정독 다섯 번 더 하길 바람
3) 그럼 십방집에서 피해면역 1%가 뜨면?
명월봉에선 피해면역 2%가 뜨는데,
남양도에선 안 뜬다. 왜? 공란이잖아
4) 그래서 자금류(무기/반지/장신구)의 보라옵션 탐색은
가급적 축검산장을 이용한다. 십방집에선 테이블 2밖에 찾을 수 없으므로
5) 일반 제작 아이템의 경우, 천장을 발생시키던 하기 서술할 유일아이템 제작을 통해
순번을 지워내던, 보라옵션이 붙는 타이밍을 컨트롤할 수 없다.
- 유일도면 아이템의 제작순서에 따라서 일반아이템에 붙는 보라옵션의 순서나 옵션이
변한다는 공략들이 많았는데, 실제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음
- 이게 변한다는 것은 위의 테이블처럼 테이블에 공란이 있는 지역에서 제작했거나
단순 착각에 가깝다고 본다. 이의 있으면 반박 환영함
6) 유일도면 아이템의 경우, 제작 시퀀스를 계속해서 바꿔보는 방식으로
보라옵션을 탐색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ex) 현신갑을 예시로 설명

계속 시퀀스를 늘려나가며 원하는 옵션을 붙이거나
타협할 선을 찾아 결정한다.
7) 일반제작 시, 보라옵을 붙이고 싶은 유일도면 장비가 있을 경우
이걸 5번까지의 시나리오 작성에 포함시킬 수 있음.
반대로 말하자면, 일반제작이 계획에 있을 경우
충분한 재료 확보와 시나리오 작성 없이
유일도면 아이템 먼저 보라옵을 붙이겠다고 제작을 하는 경우
재료의 심각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
8) 유일도면 아이템 제작 시, 해당 회차에 제작될 아이템은 아예 순번이
삭제되며, 천장 카운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거 명심하기 바랍니다.
계산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단, 천장 아이템이 나올 순번에 유일도면 아이템을 제작할 경우
천장은 순번이 밀려서 나옵니다.
ex) 1번부터 10번까지 일반 아이템 제작, 11번에 천장 출몰 시
10번에 유일도면 아이템을 제작할 경우 = 10번 아이템이 사라짐
11번째에 유일도면 아이템을 제작할 경우 = 천장 아이템은 정상 제작
이후 11번 아이템이 사라짐
9) 일반제작 아이템에 보라옵 나오는 순번에 유일도면 제작한다고 보라옵 붙지 않습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시 한 번 본인의 제작 시퀀스를 공유하고 설명을 덧붙이겠음

이미 제작을 진행한 상태라 7번째에(일반 6번 제작 후) 천장이 뜨는 상태임
1-6 : 십방집 제작(스킵 용)
천장 : 남양도(남양도 천장 1)
7 : 명월봉 (명월봉 7)
8-12 : 십방집 (스킵)
13 : 명월봉(명월봉 13)
14 : 낙양(낙양 14)
15-22 : 십방집 (스킵)
23 : 남양도(남양도 23)
24-25 : 십방집(스킵)
26 : 명월봉(명월봉 26)
27 : 남양도(남양도 27)
28 : 십방집(십방집 28)
이 중, 현신갑의 보라옵션작을 하기 위해 시퀀스를 조사함
어차피 명월봉의 피해면역 2%를 붙일 것이기 때문에,
십방집에서 하나씩 제작횟수를 늘려가며 현신갑에 피해면역 1%가
뜨는 회차를 조사했더니, 십방집 17번(피해반사 6%)을 제작 후
18번째로 제작 시 피해면역 1%가 붙는 것을 확인.
이 시퀀스를 명월봉으로 옮겨 제작하면 피해면역 2%가 붙어 나옴
1-6 : 십방집 제작(스킵 용)
천장 : 남양도(남양도 천장 1)
7 : 명월봉 (명월봉 7)
8-12 : 십방집 (스킵)
13 : 명월봉(명월봉 13)
14 : 낙양(낙양 14)
15-17 : 십방집 (스킵)
18 : 명월봉에서 현신갑 제작
19-22 : 십방집(스킵)
23 : 남양도(남양도 23)
24-25 : 십방집(스킵)
26 : 명월봉(명월봉 26)
27 : 남양도(남양도 27)
28 : 십방집(십방집 28)
아래와 같이 변경하여 제작 시나리오 최종 확정
7. 특수재료의 이해
1) SL 한다고 옵션 바뀌지 않음. 아이템에 옵션이 귀속돼 있으므로
굳이 찾아보려면, 한 아이템에 두 세종류 옵션을 다 붙여보고
방어든 진원이든 평균보다 높은거 붙은 걸 쓸거야! 하는 거면
탐색해 볼만 함
2) 옵션 수치는 체감 상 정확치는 않으나... 체감 상 일정 편차치의
정규분포를 따르는 듯 함. 맥옵 진짜 안 뜸
3) 축검에서 판매하는 망정으로 옵션을 다시 붙일 수 있지만...
역시 SL은 안 먹히고 확률은 극악임
8. 결론 및 제언
1. 지금까지 도출한 결과를 종합해 장비 제작 방법을 압축하면 다음과 같음
1) 재료 확보 후, 자금류/오루류 아이템의 지역별 테이블 조사
- 자금류
대도시(십방집) =< 숭산/낙하진 =< 축검산장
남양도
망우촌
- 오루류
대도시(십방집) =< 명월봉
남양도
낙양
2) 천장 이상으로 제작 시 모든 지역(숭산/낙하진/축검/명월봉 포함)의
천장 옵션 모두 조사
3) 테이블 순서 별로 취득할 아이템을 선정하고(천장 포함)
도면 사용량을 최적화하여 제작 시나리오 도출
4) 제작 시 유일 도면 아이템을 함께 제작할 경우
시나리오 시퀀스마다 유일도면 아이템을 끼워넣어 제작해보고
원하는 보라옵션(혹은 타협 옵션) 나오는 순서를 확인
5) 최종 제작 시나리오 작성
2. 사실 지금으로썬 장비 제작을 크게 권장하고 싶지 않음
1) 새북이 나오면 새로운 종류의 방어구와 반지/장신구가 나오며 제작이 가능해짐
( 현재 새북 업데이트 완료 )
아이템 테이블이 2배수가 된다는 것
2) 유일도면 아이템도 찾아볼 수 있는 시퀀스가 같은 재료 양이면 2배에 가깝기 때문
3) 이를테면 현재 비 소림인데, 염주 도면이 없는 상태로 장신구를 만들면 나중에
염주에 보라옵 붙는 시퀀스를 별도로 찾아봐야됨
Dc 오이가게 글 펌 (감사합니다)
'리뷰 >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이플 월드 이벤트 무료 월드코인 득템 (2) | 2025.05.02 |
---|---|
낭만강호 성도 발묵선진도 (0) | 2025.04.22 |
광고 엄청 나오는 이세계판타지라이프 솔직 후기 및 쿠폰 정보 (2) | 2025.02.24 |
낭만강호 소형 세력 도화오 오픈 조건 (0) | 2025.02.21 |
89년도에 나온 닌자거북이 HD 버전 다운로드 (0) | 2025.02.18 |
댓글